반응형

알아두면 쓸데 있는 금융용어 45

기술적 반등이란 무엇인가? (Technical Rally)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술적 반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술적 반등은 무엇일까요? 누군가 기술을 이용해 반등을 불러일으키는 것일까요? 아니면 일정량 이상 주가가 하락하면 자연스럽게 야기되는 현상일까요? 결과론적으로, 기술적 반등은 아무 이유 없이 주가가 올라가는 현상입니다. 우리는 기술적 반등(아무 이유 없이 주가가 올라가는 시기)을 포착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을 통해 기술적 반등 시기를 예측하기도 합니다. *기술적 분석 : 그래프를 보고 하는 분석(차트 분석) 기술적 반등 [사전적 의미] 1.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에 나타난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세를 예측. -> 차트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투자심리, 매매타점, 주가동향을 예측 2. 과거의 주가나 거래량을 계량화하거나 ..

빅맥지수란 무엇일까? (Big Mac Index)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빅맥지수(Big Mac Inde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참 마라탕이 인기였을 때를 기억하시나요? 어느 상품의 가격을 '1마라', '2마라'라고 할 만큼 마라탕이 인기였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잠시뿐이었고,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있지는 않았죠...ㅎㅎ 빅맥은 다릅니다...!!!!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빅맥, 맥도날드의 파급력은 어마어마합니다. 이런 빅맥으로 경제상황을 알아볼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빅맥지수(Big Mac Index)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빅맥지수(Big Mac Index)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에서 팔리는 빅맥 가격을 달러로 환산한 각국 빅맥 가격. => 영국 이코노미스트에서 1986년 처음 고안하여 매년 1월과 7월에 발표. 빅맥지수는 1986..

밴드웨건 효과란 무엇인가? (Band Wagon effect)

안녕하세요, 오늘은 밴드웨건(Band Wagon effect)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지금 우리는 어떤 시대에 살고 있을까요? 유행에 민감한 시대,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시대, 그냥 남들이 하니깐 일단 나도 해보는 시대, 즉, 우리는 자신만의 취향보다는 다른 사람들을 모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명칭 하는 경제용어인 밴드웨건(Band Wagon effec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밴드웨건 효과유행에 따라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현상. (편승효과 혹은 악대차효과라고도 합니다.) 밴드웨건 효과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마케팅] A와 B의 두 종류의 양말이 있는 경우, 사람들이 많이 구매하는 양말이 더 좋아 보일 때. 인터넷 광고에 '주문 폭주', '마감 임박'등의 문구를 보고, 나도 빨리 사야 할..

베블렌 효과, 베블런 효과란 무엇인가? (Veblen Effect)

안녕하세요, 오늘은 베블런 효과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지만 옛날 세대에 비해 요즘세대는 과시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디자인보다는 가격, 겸손보다는 과시가 당연시된 사회에서 베블런 효과는 교훈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의 소비심리를 파악하는 경제용어인 베블런 효과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베블런 효과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 =>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줄지 않고 계속 증가하는 현상 본래 베블런 효과는 상류층 소비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비 형태를 의미했습니다. 명품의 특성상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줄지 않고, 오히려 상승하는 현상이 있기에 상류층 소비자들은 그들의 능력에 맞게 소비하였습니다. 하지만 ..

뱅크런이란?(Bank Run) - 은행의 대규모 예금인출사태, SBV 파산사태

안녕하세요. 오늘은 뱅크런(Bank Run)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소득'의 대부분을 은행에서 일정 보수(이자)를 받고 다양한 형태(예금 등)로 맡겨 놓습니다. 은행은 안전할까요? 왜 예금자보호법은 5,000만원까지일까요? 이를 통해 은행이라 할지라도 완벽한 안전은 없다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뱅크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뱅크런 은행의 대규모 예금인출 사태, 은행의 패닉상태 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은행의 건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면, 사람들은 그동안 저축한 돈을 인출하려고 할 것입니다. 은행은 일정비율의 지급준비금 비율을 보유하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인출하게 된다면 은행은 패닉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하지만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예금보험공사의 예금자보호법이 시..

주식, 가치투자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치투자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사실 가치투자에 대해 주식 기법으로 포스팅을 할지, 가치투자의 정의에 대해 포스팅을 할 지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치투자는 무엇인지(정의)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가치투자 가치투자는 기업의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기업의 가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순자산가치 2. 성장가치 3. 수익가치 위 세가지 중 어떤 것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가치투자자 유형이 나뉘기도 합니다. * 순자산가치 중점 : 자산가치형 투자자 * 성장가치 중점 : 성장가치형 투자자 가치투자는 투기와는 정반대의 성격입니다. 잠깐 보유했다 매도하는 형식이 아닌, 회사 지분의 일부를 사서 회사를 소유한다는 마인드로 투자하는 것입..

주식, PER&PBR&EPS 정리 (저평가 종목 찾는 법)

수익을 위해, 우리는 좋은 종목을 찾으려 많은 노력을 합니다. 인간의 심리상 저평가된 종목을 찾고 싶어 하는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PER과 PBR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과 PBR과 더불어 EPS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PERPER : 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 PER은 해당 기업의 주가를 EPS(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PER = 주가 / EPS(1주당 당기순이익) 이는 기업이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A기업의 주가가 10만 원이고, EPS(주당순이익)이 1만 원이라면, PER = 10이 됩니다. 즉, PER 10이 의미하는 것은, 1주당 순이익의 1..

주식, ROE 정리 (ROE가 높은 기업에 투자하라!)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RO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OE는 워런 버핏도 이야기하고, 옆집 아주머니도 이야기할 만큼 유명합니다..ㅎㅎ 투자를 사던, 사업을 하던, 목적은 언제나 하나입니다. 바로 '수익'입니다!! 예를 들어, 자기 자본 1억을 들여 치킨집을 개업한 사장님이 있습니다. 1년 동안 1,000만 원을 벌었다면 수익률은 얼마일까요? 수익률은 10%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이러한 RO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ROEROE :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이익률 => 자기 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 자본 X 100(%) ROE는 기업이 자기 자본을 활용하여 1년간 얼마를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입니다. 만약 타 기업보다 ROE가 낮다..

주식 ETF 정리

우리는 주식을 할 때, 선택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차 시장이 유망하다고 하면, 전기차 관련주를 매수합니다. 하지만 같은 전기차 관련주여도, 내가 산 A 종목은 하락할 수 있고, 친구가 산 B 종목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기업의 개인적인 이슈로, 섹터의 이슈와 상관없이 주가는 언제나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생긴다면 얼마나 억울할까요? 또한 내가 원하는 '전기차 시장'에 전체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면, 종목 하나하나 걱정하지 않아도 되어 얼마나 좋고 편리할까요? 편리하기 위해 성격이 같은 것들을 모아놓은 것이 ETF입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개념] 사전적 정의 : 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입니다. 인덱스 펀드를 거..

주식, 다우존스(Dow Jones)란?

[ 다우존스(Dow Jones) ] 다우존스는 산업평균지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NYSE(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고 있는 주식 30개의 가격을 보여주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다우존스는 S&P500과 형제지수이고, 다우지수의 종목은 일반적으로 S&P500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하이테크 회사들이 유행이라, 나스닥, S&P500 지수를 많이 보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이 시장의 원조는 다우존스로써, 투자자들이 전반적인 주가의 흐름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쓰이는 지표입니다. [다우존스(Dow Jones) 지수 의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방향을 대표합니다. 따라서 다우지수의 상승과 하락에 따라 주식시장이 좋았는지 나빴는지 알 수 있습니다. 다우지수 상승 -> 주식시장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