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데 있는 금융용어

주식, ROE 정리 (ROE가 높은 기업에 투자하라!)

오늘도 빨간불 2024. 2. 12. 00:01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RO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OE는 워런 버핏도 이야기하고, 옆집 아주머니도 이야기할 만큼 유명합니다..ㅎㅎ
 
투자를 사던, 사업을 하던, 목적은 언제나 하나입니다.
바로 '수익'입니다!! 
 
예를 들어, 자기 자본 1억을 들여 치킨집을 개업한 사장님이 있습니다. 
1년 동안 1,000만 원을 벌었다면 수익률은 얼마일까요? 
수익률은 10%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이러한 RO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ROE

ROE :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이익률
=> 자기 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 자본 X 100(%)
 
ROE는 기업이 자기 자본을 활용하여 1년간 얼마를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입니다.
만약 타 기업보다 ROE가 낮다면 업종의 불황이나 오너리스크가 있는 기업임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ROE 10%?, 20%?>
ROE가 10%라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하였을 때, 1억 원의 이익이 발생하였다는 것입니다. 
ROE가 20%라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하였을 때, 2억 원의 이익이 발생하였다는 것입니다.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 자본에 비해 당기순이익을 많이 냈음을 의미하는데요.
이를 통해, ROE가 높은 종목일수록 투자자에게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ROE가 높은 기업 = 돈을 잘 버는 기업!!
 
<ROE는 10%로 다가가려 하는 성질이 있다?>
통계에 따르면 기업의 ROE는 세계 평균 수준인 10%에 다가가려는 성질이 있다고 합니다.
 
어떤 업종의 ROE가 시장평균보다 낮으면, 
경쟁 심화로 인해 그 업종 내 경쟁력이 부족한 회사들이 사라지고, 
생존한 우량기업들이 시장점유율을 확보해 ROE를 확보하여 ROE를 상승시킵니다.
 
반대로 어떤 업종의 ROE가 시장평균보다 높으면,
신규 기업들이 업종에 참여하여, 
기존 기업들의 점유율이 하락하고 ROE가 하락하게 됩니다.
 
 
 

ROE가 높다면 무조건 좋을까?

<당기순이익>
우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다른 성질이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기업이 어려워서 일부 부동산을 매각했습니다. 
하지만 매각한 부동산은 당기순이익에 포함됩니다. 
 
그렇게 되면 당기순이익이 상승하고, ROE가 높아지게 됩니다. 
 
<자기 자본>
ROE 계산의 분모가 되는 자기 자본의 비율이 줄어져도 ROE는 높아집니다.
 
*ROE 참고
-> 일반적으로 동종 산업에 속한 기업들의 평균보다 높으면 ROE가 높다고 합니다.
즉, A, B 기업이 각각 5%, 10%이고, C기업은 15%라면,
C기업의 ROE가 높다고 말합니다. 
즉, ROE는 동종 산업군의 상대평가의 개념입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들의 ROE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높은 ROE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애플 : 약 145%
- 마이크로소프트 : 약 49%
- 코카콜라 : 약 46.2%
- 맥도널드 : 약 32%
- 월마트 : 약 20%
- 보잉 : 약 46%
- 삼성전자 : 약 15%
 
 
 

마치며

워런 버핏은 주식투자로 유명한 사람이자 기업의 대표입니다.
워런버핏은 주식투자를 하려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ROE가 최근 3년간 연평균 15% 이상인 종목에 투자하세요"
그리고 본인의 포트폴리오 구성 또한 평균 ROE가 높다고 하였습니다.

오늘은 ROE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