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술적 반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술적 반등은 무엇일까요?
누군가 기술을 이용해 반등을 불러일으키는 것일까요?
아니면 일정량 이상 주가가 하락하면 자연스럽게 야기되는 현상일까요?
결과론적으로, 기술적 반등은 아무 이유 없이 주가가 올라가는 현상입니다.
우리는 기술적 반등(아무 이유 없이 주가가 올라가는 시기)을 포착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을 통해 기술적 반등 시기를 예측하기도 합니다.
*기술적 분석 : 그래프를 보고 하는 분석(차트 분석)
기술적 반등
[사전적 의미]
1.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에 나타난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세를 예측.
-> 차트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투자심리, 매매타점, 주가동향을 예측
2. 과거의 주가나 거래량을 계량화하거나 도표화해서 일정한 추세나 패턴을 찾는 분석 기법.
-> 기술적 분석을 중요시하는 전문가들은 주가와 거래량의 추세가
증시에 미칠만한 요인들을 모두 반영한다고 생각.
[효과]
1. 단기적인 투자에 유익하다(단타매매)
2. 주가 흐름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
3. 기본적 분석 대비 분석이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기본적 분석 : 시황, 업종 등 여러 요소들을 골고루 염두
[기술적 반락]
기술적 반등은 급격한 하락 이후 상승이 나오는 구간입니다.
기술적 반락은 기술적 반등과 반대로,
급격한 상승이 이뤄질 때 단기적으로 주가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기술적 반등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기술적 반등과 매매
기술적 반등은 주로 '일봉'을 볼 때 많이 쓰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다음으로는 '분봉', 즉 단타를 칠 때에도 기술적 반등을 많이 사용합니다.
단타매매를 진행할 때에는 호가창과 이동평균선과 같은 보조지표를 참고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처럼 기술적 반등은 단기 거래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기에,
주봉이나 월봉으로 보았을 때에는 이미 반등이 이루어진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눌림목]
눌림목이란 주가가 일정 비율 하락한 후에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지지층을 형성하거나 상승의 조짐을 보이는 구간입니다.
사진과 같은 구간을 보고 '눌림목'이 형성되었다고 하고,
약간의 상승이 보인다면 우리는 '기술적 반등'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합니다.
만약 기술적 반등을 잘 이용하여 하나의 추세 혹은 파동을 예측했다면,
심리적으로도 금전적으로도 높은 만족감과 수익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즉, 기술적 반등은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한 분석 방법이며,
단기적으로 급등하는 형상을 띄고 있으므로 투자자들에게는 매력적인 구간입니다.
하지만 눌림목이 형성되고 기술적 반등이 진행된다하여도,
추세가 바뀌지 않을 수 있음으로 투자 시 유의해야 합니다.
(소위 말하는 눌림목이 물림목이 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기술적 반등에 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술적 분석 : 차트 보고 하는 분석
기본적 분석 : 시황 보고 하는 분석
기술적 반등 : 아무 이슈 없이 오르는 현상을 기술적 분석으로 그 지점을 찾으려 하는 것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1.gif)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술적 반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아두면 쓸데 있는 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목금리 / 실질금리란 무엇인가?(+ 기준금리)(금리의 모든 것, 총 정리) (2) | 2024.03.15 |
---|---|
최선책 & 차선책 정리 (feat.기회비용) + 주식 포트폴리오(+헷징) (0) | 2024.03.12 |
빅맥지수란 무엇일까? (Big Mac Index) (0) | 2024.02.20 |
밴드웨건 효과란 무엇인가? (Band Wagon effect) (0) | 2024.02.19 |
베블렌 효과, 베블런 효과란 무엇인가? (Veblen Effect) (1) | 202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