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추세전환 3

주식 파라볼릭(Parabolic SAR)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라볼릭(Parabolic SA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라볼릭은 간단히 PSAR 또는 파라볼릭이라고도 불립니다. 파라볼릭은 1978년 웰즈 와일더에 의해 후행성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실현 가능한 이익의 획득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파라볼릭은 추세지표라는 점에서는 다른 보조지표와 같을 수 있으나, 다른 지표와는 달리 자동적으로 매매 신호를 발생시키기에 주가 추세를 활용하는 자동매매시스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arabolic SAR[개념] Parabolic : 포물선의 S : Stop(멈춤) A : And(그리고) R : Reversal(전환) Parabolic SAR은 가속도를 이용하여 추세의 전환점을 나타내는 보조지표입니다. [구성] Parabolic SA..

MACD와 MACD OSC : MACD OSC편 [2편]

이번 포스팅에서는 1편에 이어 MACD Oscillato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CD와 MACD OSC는 성격이 비슷하고, 단지 표현 방식만 다를 뿐입니다.) MACD Oscillator는 MACD와 Signal 선을 뺀 값으로서, 산술값을 활용하기에 계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추세의 움직임을 선행하지 못하는 후행성 보조지표라는 것이 단점으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MACD OSC를 통해 추세가 변하는 강도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1편을 먼저 보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MACD와 MACD OSC : MACD편 [1편]이번 포스팅에서는 MACD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CD와 MACD OSC를 같이 포스팅하려 했지만, 따로 자세히 설명하고 싶어 포스팅..

MACD와 MACD OSC : MACD편 [1편]

이번 포스팅에서는 MACD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CD와 MACD OSC를 같이 포스팅하려 했지만, 따로 자세히 설명하고 싶어 포스팅을 나누어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MACD와 MACD OSC는 성격이 비슷하고, 단지 표현 방식만 다를 뿐입니다. MACD는 이동평균선의 한계를 극복하여 좀 더 빠른 대처가 가능한 보조지표입니다. 따라서 추세의 전환시점과 방향, 주가의 움직임을 분석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동평균선(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정배열,역배열)이번 포스팅에서는 - 이동평균선 -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 정배열, 역배열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매일 변합니다. 그래서 주식시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