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5

명목금리 / 실질금리란 무엇인가?(+ 기준금리)(금리의 모든 것, 총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어디서 많이 들어서 알고 있지만, 막상 설명하기는 애매한 경제용어입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를 왜 알아야 할까요? 적어도 우리가 주고받는 '금리(이자)"의 구성이 어떻게 되는지는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금리'에 대해 먼저 알아보며 시작하겠습니다. 금리금리(金利)란 자금을 대차할 때 부과하는 이용료입니다. 따라서, 이자(율)라고도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우리는 물건에 대해 가치를 부여합니다. -> 물건의 가치는 '돈'으로 계산됩니다. 그렇다면 돈은 어떠한 것으로 가치가 부여될까요? -> 돈의 가치는 '금리'로 계산됩니다. 우리는 돈을 빌리고 빌려줍니다. 이때 '이자(금리)'라는..

주식, 가치투자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치투자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사실 가치투자에 대해 주식 기법으로 포스팅을 할지, 가치투자의 정의에 대해 포스팅을 할 지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치투자는 무엇인지(정의)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가치투자 가치투자는 기업의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기업의 가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순자산가치 2. 성장가치 3. 수익가치 위 세가지 중 어떤 것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가치투자자 유형이 나뉘기도 합니다. * 순자산가치 중점 : 자산가치형 투자자 * 성장가치 중점 : 성장가치형 투자자 가치투자는 투기와는 정반대의 성격입니다. 잠깐 보유했다 매도하는 형식이 아닌, 회사 지분의 일부를 사서 회사를 소유한다는 마인드로 투자하는 것입..

주식 ETF 정리

우리는 주식을 할 때, 선택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차 시장이 유망하다고 하면, 전기차 관련주를 매수합니다. 하지만 같은 전기차 관련주여도, 내가 산 A 종목은 하락할 수 있고, 친구가 산 B 종목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기업의 개인적인 이슈로, 섹터의 이슈와 상관없이 주가는 언제나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생긴다면 얼마나 억울할까요? 또한 내가 원하는 '전기차 시장'에 전체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면, 종목 하나하나 걱정하지 않아도 되어 얼마나 좋고 편리할까요? 편리하기 위해 성격이 같은 것들을 모아놓은 것이 ETF입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개념] 사전적 정의 : 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입니다. 인덱스 펀드를 거..

연방준비제도(FED)와 금리 [2편]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주요 통화정책 중 가장 파급력 있는 기준금리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1편을 보고 오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포스팅 : https://senseforfinance.tistory.com/m/13 연방준비제도(FED)란? [1편]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연방준비제도(FED)는 미국의 중앙은행 시스템이고, 연방준비제도(FED)는 증권거래활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기관입니senseforfinance.tistory.com연방준비제도와 금리[금리] 금리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기준금리입니다. 기준금리란? 한 나라의 금리체계의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입니다. 즉, 시장금리를 형성하기 위한 기준이 ..

주식 캔들 보는법, 장대캔들,역망치형,망치형,팽이형(2)

앞서 말한 기본적인 캔들 보는 법에 이어 이번에는, "장대캔들, 역망치형, 망치형, 팽이형"에 대해 추가적으로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캔들의 생김세에 따른 기술적인 분석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단지 매수세와 매도세로만 판단하는 것이고, 주식은 '예측이 아닌 대응'입니다, 따라서, 그날의 이슈와 증시상황에 따라 달라지기에 '이런 것이 있구나' 하고 가볍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장대캔들'의 종류에 대해 말해보자. 우선, 장대캔들이 나왔다는 것에서 우리는 두가지 현상은 확실하게 알 수 있다. 1. 거래량이 매우 높다. 2. 매수 or 매도 세력이 굉장히 강하다.(=한쪽의 힘이 굉장히 강하다.) 특징으로는, 장대캔들이 나왔을 때에는 '스캘핑' 활동이 활발히 일어납니다.(일명 불타기) 또한 저항과 지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