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용어 7

IRP란 무엇인가?_이것만 보면_IRP 총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IRP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우리는 항상 미래에 대해 걱정합니다. 그래서 자동차보험, 실손의료보험 등의 보장성 상품에 가입하고,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이라는 직업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나아가 노후라는 것을 걱정합니다. 따라서 어떤 사람은 퇴직금을 금에 투자하고, 어떤 사람은 주식에 전부 투자할 수도 있을 것이고, 또 어떤 사람은 부동산에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그중 퇴직연금에 투자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IRP가 이에 해당합니다. IRP 개인형 퇴직연금IRP는 노후대비를 위해 스스로 저축하는 연금상품입니다. 즉, 퇴직연금 상품! IRP는 개인이 직접 개설하고 납입할 수 있고, 젊었을 때 IRP에 가입하여 꾸준히 납부한다면 안정적인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공매도란 무엇인가? +숏커버링 (공매도 총정리)(Short Stock Selling)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공매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공매도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나요? 우린 보통 주가가 많이 하락할 때 공매도라는 단어를 듣고, 공매도가 많은 종목은 거래하기 꺼려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렇듯 공매도는 일반투자자에게 좋은 이미지는 아닙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공매도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매도주식을 미리 빌려 매도하여 현재 주가만큼 돈을 받고, 나중에 빌린 주식을 갚는 형식입니다. => 이 과정 속 시세차익으로 수익 형성 [상세설명 및 예시] 즉, 공매도의 핵심은 보유하고 있지 않은 주식을 판다는 것입니다. ->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파는 것!!!!! A종목은 현재 1주당 1만 원입니다. 00 투자회사는 A종목이 하락할 것이라..

명목금리 / 실질금리란 무엇인가?(+ 기준금리)(금리의 모든 것, 총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어디서 많이 들어서 알고 있지만, 막상 설명하기는 애매한 경제용어입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를 왜 알아야 할까요? 적어도 우리가 주고받는 '금리(이자)"의 구성이 어떻게 되는지는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금리'에 대해 먼저 알아보며 시작하겠습니다. 금리금리(金利)란 자금을 대차할 때 부과하는 이용료입니다. 따라서, 이자(율)라고도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우리는 물건에 대해 가치를 부여합니다. -> 물건의 가치는 '돈'으로 계산됩니다. 그렇다면 돈은 어떠한 것으로 가치가 부여될까요? -> 돈의 가치는 '금리'로 계산됩니다. 우리는 돈을 빌리고 빌려줍니다. 이때 '이자(금리)'라는..

최선책 & 차선책 정리 (feat.기회비용) + 주식 포트폴리오(+헷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선책'과 '차선책(기회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항상 선택을 합니다. 따라서 인생은 B(birth)와 D(death) 사이의 C(choice)라고도 합니다. 양자택일의 상황에서 하나를 선택한다면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선택'에 대해 경제적인 측면에서 접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선책과 채선책(feat.기회비용) 최선책 : 가장 훌륭하고 좋은 대책. 차선책 : 최선책 다음가는 방책. 기회비용 : 어떤 것을 선택함으로 인해서 포기되는 나머지 것들. [최선책&차선책(기회비용)] 평소 주식거래를 즐겨하는 김상승 씨는 A종목과 B종목을 두고 고민합니다. 김상승 씨는 현재 만원이 있으며, A종목과 B종목 모두 ..

밴드웨건 효과란 무엇인가? (Band Wagon effect)

안녕하세요, 오늘은 밴드웨건(Band Wagon effect)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지금 우리는 어떤 시대에 살고 있을까요? 유행에 민감한 시대,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시대, 그냥 남들이 하니깐 일단 나도 해보는 시대, 즉, 우리는 자신만의 취향보다는 다른 사람들을 모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명칭 하는 경제용어인 밴드웨건(Band Wagon effec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밴드웨건 효과유행에 따라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현상. (편승효과 혹은 악대차효과라고도 합니다.) 밴드웨건 효과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마케팅] A와 B의 두 종류의 양말이 있는 경우, 사람들이 많이 구매하는 양말이 더 좋아 보일 때. 인터넷 광고에 '주문 폭주', '마감 임박'등의 문구를 보고, 나도 빨리 사야 할..

베블렌 효과, 베블런 효과란 무엇인가? (Veblen Effect)

안녕하세요, 오늘은 베블런 효과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지만 옛날 세대에 비해 요즘세대는 과시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디자인보다는 가격, 겸손보다는 과시가 당연시된 사회에서 베블런 효과는 교훈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의 소비심리를 파악하는 경제용어인 베블런 효과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베블런 효과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 =>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줄지 않고 계속 증가하는 현상 본래 베블런 효과는 상류층 소비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비 형태를 의미했습니다. 명품의 특성상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줄지 않고, 오히려 상승하는 현상이 있기에 상류층 소비자들은 그들의 능력에 맞게 소비하였습니다. 하지만 ..

GDP(국내총생산),GNP(국민총생산)

아마 중학생 때쯤인가? 사회시간에 GDP, GNP라는 말을 처음 접했던 것 같다. 이 두 용어는 솔직히 몰라도 사는데 지장은 없다. 하지만 '아는만큼 보인다'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그래서 이번에는 기초적인 경제용어 중 하나인 'GDP와 GNP'를 말해보고자 한다. [GDP = Gross Domestic Product] GDP란, => 누군지 중요하지 않다!!, 우리나라 영토에서 경제활동으로 벌어들인 모든 가치의 총 합!!! + 한국인이든 미국인이든 누가 벌었는지는 중요 X, 우리나라 영토안에서 벌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 그럼 당연하게 외국사람이 우리나라에서 번 것은 우리나라 GDP(국내총생산)이다. (우리나라 사람이 외국에서 번 것은 외국 GDP에 해당한다.) 예시를 들어보자 :) EX 1) 대한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