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중학생 때쯤인가?
사회시간에 GDP, GNP라는 말을 처음 접했던 것 같다.
이 두 용어는 솔직히 몰라도 사는데 지장은 없다.
하지만 '아는만큼 보인다'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그래서 이번에는 기초적인 경제용어 중 하나인 'GDP와 GNP'를 말해보고자 한다.
<GDP, 국내총생산>
[GDP = Gross Domestic Product]
GDP란,
=> 누군지 중요하지 않다!!, 우리나라 영토에서 경제활동으로 벌어들인 모든 가치의 총 합!!!
+ 한국인이든 미국인이든 누가 벌었는지는 중요 X, 우리나라 영토안에서 벌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 그럼 당연하게 외국사람이 우리나라에서 번 것은 우리나라 GDP(국내총생산)이다.
(우리나라 사람이 외국에서 번 것은 외국 GDP에 해당한다.)
예시를 들어보자 :)
EX 1)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사업가 김양봉씨는 태국에서 의류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렇다면 김양봉씨는 태국에서 사업수익을 가진다, 따라서 그 수익은 태국GDP에 포함된다.
EX 2) 미국인 제임스는 한국의 어떤 무역회사를 다닌다.
그렇다면 미국인 제임스는 한국에서 근로소득을 가진다, 따라서 그 수익은 한국GDP에 포함된다.
이제 GDP가 이해 되었는가?
즉, 한국인이든 외국인이든 누가 벌었는지 신경 쓰지 않고,
하나의 국가 내에서 만들어진 모든 것들의 가치를 합친 것이 GDP이다.
<GNP, 국민총생산>
[GNP = Gross National Product]
GNP란,
=> 어느 나란지 중요하지 않다!!, 우리나라사람이 경제활동으로 벌어들인 모든 가치의 총 합!!!
+ 한국이든 미국이든 어디서 벌었는지는 중요 X, 우리나라 사람이 벌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 그럼 당연하게 우리나라 사람이 외국에서 번 것은 당연히 우리나라 GNP(국민총소득)이다.
(외국사람이 우리나라에서 번 것은 외국 GNP에 해당한다.)
예시를 들어보자 :)
EX 1)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맞벌이 가장인 김음봉씨는 태국 의류공장에서 일하고 있다.
그렇다면 김음봉씨는 태국에서 근로소득을 가진다, 따라서 그 수익은 대한민국 GNP에 포함된다.
EX 2) 미국인 제임스는 한국의 어떤 무역회사를 다닌다.
그렇다면 미국인 제임스는 한국에서 근로소득을 가진다, 따라서 그 수익은 미국 GNP에 포함된다.
이제 GNP가 이해되었는가?
즉, 한국이든 외국이든 어디서 벌었는지 신경 쓰지 않고,
같은 국적을 가진 사람들끼리 만들어낸 모든 것들의 가치를 합친 것이 GDP이다.
솔직히 여기까지만 이해했어도 충분하고 충분하다.
하지만 조금만 더 들어가서,,
[명목 GDP와 실질 GDP]에 대해 아주 간단히 알아보자!
우리는 연도마다 비교하기 위해 GDP를 1년마다 계산한다.
그렇다면 전년도와 이번 연도를 비교하려 해 보자.
과연 '수치'만으로 비교가 가능할까?
일단 답은 : "불가능하다".
가장 대표적인 이유로 '인플레이션' 즉, 물가 수준의 변화 때문이다.
따라서, 이때 필요한 것이 실질 GDP입니다.
(실질 GDP 증가율 = 명목 GDP 증가율 - 물가상승률)
주로 명목 GDP는 국가 경제규모를 판단할 때 사용하고,
실질 GDP는 경기성장 및 경기흐름을 판단할 때 주로 사용된다.
(-> 경제는 하나의 카테고리가 될 수 없기에 사용하려는 목적에 따라,
조금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명목, '실질'이라는 단어가 존재할 뿐 절대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다.)
*정 이해가 안 된다면, (꼭 GDP가 아니더라도,,)
- 명목 GDP = 물가 포함
(명목 GDP = 실질 GDP + 물가상승률)
- 실질 GDP = 물가 상승분 제외
(실질 GDP = 실질 GDP - 물가상승률)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ace/large/002.png)
오늘도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아두면 쓸데 있는 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방준비제도(FED)와 금리 [2편] (0) | 2024.01.17 |
---|---|
연방준비제도(FED)란? [1편] (0) | 2024.01.16 |
물가(인플레이션,스태그플레이션,디플레이션) (0) | 2023.02.25 |
화폐(돈)란 무엇인가 (0) | 2023.02.17 |
금리란 무엇인가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