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매기법 8

헤드앤숄더 / 역헤드앤숄더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헤드앤숄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해드앤숄더'라는 말을 들으면 무엇이 생각나시나요? '머리'와 '어깨'가 가장 먼저 생각납니다. 이와 같이 '헤드앤 숄더'는 누적된 차트의 모양이, 마치 사람의 머리와 어깨의 형상과 비슷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입니다. 헤드앤숄더는 주식을 하다 보면 자주 볼 수 있는 형태로써, 보통 추세의 전환이 이루어지기 전에 나타나는 형태입니다. 헤드앤숄더 헤드앤숄더는 세 개의 산봉우리 형태를 띠고 있다고 하여 '삼봉형 패턴'이라고도 불립니다. 위 사진을 보면 '세 개의 고점을 형성'하고 있고, 가운데 고점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형태가 나오면 '하락 추세'로의 전환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헤드앤숄더 형태] 위..

기술적 반등이란 무엇인가? (Technical Rally)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술적 반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술적 반등은 무엇일까요? 누군가 기술을 이용해 반등을 불러일으키는 것일까요? 아니면 일정량 이상 주가가 하락하면 자연스럽게 야기되는 현상일까요? 결과론적으로, 기술적 반등은 아무 이유 없이 주가가 올라가는 현상입니다. 우리는 기술적 반등(아무 이유 없이 주가가 올라가는 시기)을 포착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을 통해 기술적 반등 시기를 예측하기도 합니다. *기술적 분석 : 그래프를 보고 하는 분석(차트 분석) 기술적 반등 [사전적 의미] 1.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에 나타난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세를 예측. -> 차트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투자심리, 매매타점, 주가동향을 예측 2. 과거의 주가나 거래량을 계량화하거나 ..

주식 파라볼릭(Parabolic SAR)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라볼릭(Parabolic SA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라볼릭은 간단히 PSAR 또는 파라볼릭이라고도 불립니다. 파라볼릭은 1978년 웰즈 와일더에 의해 후행성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실현 가능한 이익의 획득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파라볼릭은 추세지표라는 점에서는 다른 보조지표와 같을 수 있으나, 다른 지표와는 달리 자동적으로 매매 신호를 발생시키기에 주가 추세를 활용하는 자동매매시스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arabolic SAR[개념] Parabolic : 포물선의 S : Stop(멈춤) A : And(그리고) R : Reversal(전환) Parabolic SAR은 가속도를 이용하여 추세의 전환점을 나타내는 보조지표입니다. [구성] Parabolic SA..

주식 볼린저밴드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볼린저밴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볼린저밴드는 1980년대 초 미국의 투자전문가인 존 볼린저(John Bolinger)가 개발한 보조지표입니다.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움직이는 범위를 계산하여 현재 주가에 참고하는 방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볼린저밴드[개념] 볼린저 : 1980년대 초 미국의 투자전문가 이름 밴드 : 구간 볼린저밴드는 이동평균선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변동성을 나타냅니다. [구성] 볼린저밴드는 상한선, 중심선, 하한선의 3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심선 : 20일 이동평균선입니다. 상한선 : 20일 이동평균선에 표준편차 x2를 더한 값입니다. 하한선 : 20일 이동평균선에 표준편자 x2를 ..

주식 이격도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격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주가는 보통 이동평균선으로 붙으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주가의 성질을 나타낸 보조지표가 이격도입니다. 주가의 방향성과 현재 주가의 과열정도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격도[개념] 이격 : 사이가 벌어짐 도 : 정도 이격도는 주가와 이동평균선 사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보조지표입니다. 즉, 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괴리율을 나타내는 보조지표입니다! 이격도가 80이상이라면 주가가 과열 상태에 있다고 판단 => 매도를 고려하게 됩니다. 이격도가 20이하라면 주가가 과매도 상태에 있다고 판단 => 매수를 고려하게 됩니다. [계산] 이격도 = (당일의 주가 / 이동평균선) * 100 예시) 오늘의 주가가 10,000원이고, 20일..

주식 매물대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매물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물대는 어떨 때 사용될까요? 1. 주가가 상승하지 못하는 요인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일정 구간에서 주식이 상승하지 못할 때, 그 구간에 매물대(사람)가 많이 쌓여있어 상승돌파가 어렵다고 표현합니다. 2. 이전에 큰 상승(산)이 나왔던 구간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이전에 큰 상승이 있었던 종목은, 이전 큰 상승 때 사람들이 그 산에 매물대를 쌓아놨기 때문에 다시 그 구간을 넘어 신고점을 갱신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매물대를 사용하면 가격대별 매물량과 현재 구간의 상태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매물대[개념] 매물 : 팔려고 내놓은 물건 대 : 구간 매물대는 주식의 매물차트에서 일정 기간 동안 특정 가격대에서의 거래량을 나타내는 보조지표 [구성] ..

RSI와 다이버전스 : RSI 정리 [1편]

이번 포스팅에서는 RS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SI는 다른 보조지표와 정말 많이 쓰이기에 꼭 알고 가야 합니다. * RSI는 보통 다이버전스(상승 다이버전스, 하락 다이버전스)와 연계됩니다. * 하지만 다이버전스를 MACD(OSC)와 RSI와 더불어 자세히 설명하고 싶어 포스팅을 나눠서 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혹시 신발을 좋아하시나요? 인기가 많은 신발은 프리미엄이 붙습니다. 그렇다면 이 신발을 사람들이 얼마나 사고 싶어 하는지, 팔고 싶어 하는지에 대해 자연스럽게 알고 싶어 질 것입니다. 주식에서는 RSI가 대표적으로 이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데요. RSI를 활용하면 현재 내가 보고 있는 주식의 심리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RSI[기본설명] RSI는 주가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 간의 상대적 강도를..

MACD와 MACD OSC : MACD OSC편 [2편]

이번 포스팅에서는 1편에 이어 MACD Oscillato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CD와 MACD OSC는 성격이 비슷하고, 단지 표현 방식만 다를 뿐입니다.) MACD Oscillator는 MACD와 Signal 선을 뺀 값으로서, 산술값을 활용하기에 계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추세의 움직임을 선행하지 못하는 후행성 보조지표라는 것이 단점으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MACD OSC를 통해 추세가 변하는 강도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1편을 먼저 보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MACD와 MACD OSC : MACD편 [1편]이번 포스팅에서는 MACD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CD와 MACD OSC를 같이 포스팅하려 했지만, 따로 자세히 설명하고 싶어 포스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