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볼린저밴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볼린저밴드는 1980년대 초 미국의 투자전문가인 존 볼린저(John Bolinger)가 개발한 보조지표입니다.
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움직이는 범위를 계산하여 현재 주가에 참고하는 방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볼린저밴드
[개념]
볼린저 : 1980년대 초 미국의 투자전문가 이름
밴드 : 구간
볼린저밴드는 이동평균선의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변동성을 나타냅니다.
[구성]
볼린저밴드는 상한선, 중심선, 하한선의 3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e0R9/btsDNGwbKx8/PfHFpFw0Kc406D3kE0JYpK/img.png)
중심선 : 20일 이동평균선입니다.
상한선 : 20일 이동평균선에 표준편차 x2를 더한 값입니다.
하한선 : 20일 이동평균선에 표준편자 x2를 뺀 값입니다.
볼린저 밴드 알아보기
[볼린저 밴드의 폭이 넓은 경우]
볼린저 밴드의 폭이 넓으면 변동성이 매우 큰 상태입니다.
[볼린저 밴드의 폭이 좁은 경우]
볼린저 밴드의 폭이 좁으면 변동성이 작은 상태입니다.
[주가가 상한선 or하한선을 돌파]
<주가가 상한선 상향 돌파>
주가가 상한선을 상향 돌파한다면 과매수 상태입니다.
(즉, 매수세가 강하다는 말입니다.)
<주가가 하한선 하향 돌파>
주가가 하한선을 하향 돌파한다면 과매도 상태입니다.
(즉, 매도세가 강하다는 말입니다.)
통계적으로, 주가가 볼린저 밴드의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 움직일 확률은 약 95%라고 하였습니다.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
[case1]
횡보장에서 볼린저 밴드를 이용한 매매기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4APxU/btsDSq0ljsk/edbcdu7w9zbU229MHF6ekK/img.png)
<볼린저 밴드 상단선에 닿았을 때>
차트가 볼린저밴드 상단선에 닿았다면 매도포지션을 가집니다.
<볼린저 밴드 하단선에 닿았을 때>
차트가 볼린저밴드 하단선에 닿았다면 매수포지션을 가집니다.
[case1]
볼린저 밴드의 좁은 구간이 끝나갈 때, 돌파하는 방향으로 매수 or매도
![](https://blog.kakaocdn.net/dn/bQSmvs/btsDRnbFAHa/hzeHUagxUxCQJ3LMPknHVK/img.png)
<좁은 구간이 끝나고 상한선 돌파>
좁은 구간이 끝나고 볼린저밴드 상단에 닿으면 매수포지션을 가집니다.
<좁은 구간이 끝나고 하한선 돌파>
좁은 구간이 끝나고 볼린저밴드 하단에 닿으면 매도포지션을 가집니다.
매매기법은 가볍게 이해를 돕는 용도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볼린저 밴드는 뭔가 보고 있으면 마음의 안정을 주는 보조지표입니다,,
주의점으로는, 볼린저 밴드는 변동성이 심할 때 해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볼린저밴드 또한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 다른 기술적 보조지표와 함께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볼린저밴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기법 (Kiwoom 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OBV 정리 (주식보조지표 OBV) (0) | 2024.02.14 |
---|---|
주식 파라볼릭(Parabolic SAR) 정리 (1) | 2024.01.27 |
주식 이격도 정리 (0) | 2024.01.25 |
주식 매물대 정리 (1) | 2024.01.24 |
RSI와 다이버전스 : 다이버전스 정리 [2편] (2)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