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 기법 (Kiwoom hts) 18

MACD와 MACD OSC : MACD편 [1편]

이번 포스팅에서는 MACD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CD와 MACD OSC를 같이 포스팅하려 했지만, 따로 자세히 설명하고 싶어 포스팅을 나누어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MACD와 MACD OSC는 성격이 비슷하고, 단지 표현 방식만 다를 뿐입니다. MACD는 이동평균선의 한계를 극복하여 좀 더 빠른 대처가 가능한 보조지표입니다. 따라서 추세의 전환시점과 방향, 주가의 움직임을 분석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동평균선(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정배열,역배열)이번 포스팅에서는 - 이동평균선 -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 정배열, 역배열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매일 변합니다. 그래서 주식시장..

이동평균선(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정배열,역배열)

이번 포스팅에서는 - 이동평균선 -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 정배열, 역배열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매일 변합니다. 그래서 주식시장은 유동성이 강한 시장이죠. 그리고 매매를 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차트에서 일정한 패턴을 찾으려 합니다. 이를 위해 보조지표를 사용하고, 그중 하나가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은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조지표 중 하나이며, 다른 보조지표를 볼 때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동평균선[정의] 일정기간(5일, 20일, 60일, 120일) 동안의 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주가 이동평균을 연결한 선. 즉, 일정기간 주가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보조지표입니다. 앞서 말했듯, 이동평균선은 '산술평균'이기에 우리가 쉽게 계산해 볼..

시간외 거래[해외주식(미국)]

저번 포스팅에는 국내 시간외 거래를 살펴보았습니다. 국내 시간외 거래 정보가 필요하신 분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내 시간외 거래 : https://senseforfinance.tistory.com/11)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외주식 '시간외 거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해외주식 또한 '정규시간' 이외에 거래하는 시간외 거래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한국과 미국은 조금 다른 점이 있습니다. 한국은 정규시간이 09:00 ~ 15:30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미국은 '서머타임' 이라는 제도로 인하여, 유동적으로 시간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이번 해외주식 시간외 거래에서는 다음 세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정규시간]서머타임 - [시간외 거래] 장전(프리마켓) - [시간외 거래] 장후(프리마켓)..

시간외 거래[국내(KOSPI,KOSDAQ)]

시간외 거래는 쉽게 말해 '정규시간' 이외에 거래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09:00 ~ 15:30 이외의 시간에 거래를 하는 행위입니다. 증시 거래의 방법으로는 다음 네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정규시간 - [시간외 거래] 동시호가 (장 시작, 장 마감 동시호가) - [시간외 거래] 시간외 종가 (장전 시간외 종가, 장후 시간외 종가) - [시간외 거래] 시간외 단일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네 가지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정규시간 (흔히 정규장, 본장이라고도 합니다.) 정규시간 : 09:00 ~ 15:30 장 시작시간 : 09:00, 장 마감시간 : 15:30 매수와 매도가 활발히 일어나고, 매매가 자유롭습니다. 보통의 주식 거래가 이뤄지는 시간이고, 보통 우리가 매매하는 시간이라고 할 수 ..

주식 캔들 보는법, 장대캔들,역망치형,망치형,팽이형(2)

앞서 말한 기본적인 캔들 보는 법에 이어 이번에는, "장대캔들, 역망치형, 망치형, 팽이형"에 대해 추가적으로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캔들의 생김세에 따른 기술적인 분석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단지 매수세와 매도세로만 판단하는 것이고, 주식은 '예측이 아닌 대응'입니다, 따라서, 그날의 이슈와 증시상황에 따라 달라지기에 '이런 것이 있구나' 하고 가볍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장대캔들'의 종류에 대해 말해보자. 우선, 장대캔들이 나왔다는 것에서 우리는 두가지 현상은 확실하게 알 수 있다. 1. 거래량이 매우 높다. 2. 매수 or 매도 세력이 굉장히 강하다.(=한쪽의 힘이 굉장히 강하다.) 특징으로는, 장대캔들이 나왔을 때에는 '스캘핑' 활동이 활발히 일어납니다.(일명 불타기) 또한 저항과 지지..

주식 캔들 보는법, 양봉, 음봉, 도지(1)

이번에는 '캔들'의 형태에 대해 말해볼 것이다. 우선 '캔들'이 무엇인가?라고 묻는다면 나는 '힘의 흐름' 이라고 대답할 것 같다. 우선 캔들에는 크게 세가지가 있다. 1. 양봉 2. 음봉 3. 도지 * 주가는 매수세가 강하면 오르고(양봉), 매도세가 강하면 떨어진다(음봉). 또한 매수세와 매도세가 같다면 그대로 유지된다(도지). 그리고 분봉, 일봉, 주봉, 월봉에 따라 캔들의 형태는 바뀔 수 있다. 하지만 내가 보고자 하는 기간의 힘의 흐름은 캔들에 그대로 나타나있음을 알았으면 한다. 캔들에는 네가지 용어가 들어간다. 1. 시가 = 개장할 때의 가격 2. 종가 = 폐장할 때의 가격 3. 고가 = 일일 개장시간 中 가장 높을 때의 가격 4. 저가 = 일일 개장시간 中 가장 낮을 때의 가격 -> 하루동안 ..

스캘핑, 단타, 단기스윙, 스윙, 중장기, 장기

증권시장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나스닥,, 니케이,, 코스피 등) 하루에도 수많은 거래대금이 증권시장으로 들어오고 나간다. 흔히 사람들은 말한다. "난 삼전 장기투자자야!"혹은, "나 이번에 누가 A종목 오른다고 해서 잠깐 며칠 동안 수익 봤어!" -> 이 둘에서'보유기간의 차이'가 보였다면 당신은 눈치가 빠른 사람이다. 따라서 이번 블로그에서는 'Trading의 기간', 즉, 선물이든 현물이든 어떤 주식의'보유기간'에 따른 용어에 대해 말할 것이다. [단기투자] 1.스캘핑(scalping) -> 일명 "초단타!!!!" 스캘핑은'초~분'단위로 매매를 반복하는 것이다. *보통 거래량이 급증하는 (개장) 시간에 많이 공략한다. *전문 트레이더들이 주로 많이 사용하며 호가창을 같이 사용한다. *높은 ..

제로섬 게임(hedging)

"나의 투자 목표는 제로섬 게임이다" 저는 어떤 전략과 기법을 가지고 하더라도, 헷징을 통한 손실 극소화는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주식 기법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 제로섬 게임에 대해 말해보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몸이 아플까 봐 '보험'에 가입하고, 노후를 보장받고 싶어 '연금'에 가입한다. 이 행위들이 "Hedging"이다. 즉, 혹시 모를 위험을 대비해, 다른 무언가에게 위험을 전가시키는 행위이다. 우리는 우리의 선택으로 인해 이득을 볼 수도, 손해를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득과 손해 둘 다, 헷징을 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면 그 값은 한없이 작을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가 보험을 드는 이유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제로섬 게임"이다. (위험을 0으로 만듦) 개인적으로 난 주식에 이 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