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MACD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CD와 MACD OSC를 같이 포스팅하려 했지만, 따로 자세히 설명하고 싶어 포스팅을 나누어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MACD와 MACD OSC는 성격이 비슷하고, 단지 표현 방식만 다를 뿐입니다.
MACD는 이동평균선의 한계를 극복하여 좀 더 빠른 대처가 가능한 보조지표입니다.
따라서 추세의 전환시점과 방향, 주가의 움직임을 분석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동평균선(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정배열,역배열)
이번 포스팅에서는 - 이동평균선 -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 정배열, 역배열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매일 변합니다. 그래서 주식시장은 유동성이
senseforfinance.tistory.com
MACD
[개념]
MACD : 단기이동평균값 - 장기이동평균값
MACD는 주가의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을 통해 추세를 나타내는 보조지표입니다.
MA : Moving Average (이동평균선)
C : Convergence (수렴)
D : Divergence (발산)
*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발산의 과정 속에서 매매 타이밍 포착.
[구성]
MACD는 MACD 선과, Signal 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ACD선 : 12일 이동평균선(단기)에서 26일 이동평균선(장기)을 뺀 값입니다.
시그널선(Signal Line) : 최근 9일간의 MACD 평균값입니다.
case1) MACD 양수
12일 이동평균선 가격이 5,000원, 26일 이동평균선이 2,000원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MACD : 5,000 - 2,000 = 3,000원이 되어 양수(+)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이를 풀어서 해석하면, 최근 26일 동안의 평균 가격은 2,000원이었는데, 최근 12일 동안의 평균값은 5,000원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MACD가 양수(+)라면 최근 주가가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case2) MACD 음수
12일 이동평균선 가격이 2,000원, 26일 이동평균선이 5,000원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MACD : 2,000 - 5,000 = -3,000원이 되어 음수(-)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이를 풀어서 해석하면, 최근 26일 동안의 평균 가격은 5,000원이었는데, 최근 12일 동안의 평균값은 2,000원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MACD가 음수(-)라면 최근 주가가 하락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MACD 매매법]
*MACD 선이 Signal 선을 상향돌파 or 하향돌파 할 때 매매!
![](https://blog.kakaocdn.net/dn/bcCN2P/btsDKRb2nef/az4PFlENbVdXXBmT95xk20/img.jpg)
case1) 매수
MACD 선이 Signal 선을 상향 돌파하면 상승 추세 전환으로 볼 수 있고,
이는 매수 시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case2) 매도
MACD 선이 Signal 선을 하향 돌파하면 하향 추세 전환으로 볼 수 있고,
이는 매도 시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ACD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가 적어놓은 매매기법은 단순히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MACD에 이은 MACD OSC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기법 (Kiwoom 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I와 다이버전스 : RSI 정리 [1편] (1) | 2024.01.22 |
---|---|
MACD와 MACD OSC : MACD OSC편 [2편] (1) | 2024.01.21 |
이동평균선(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정배열,역배열) (0) | 2024.01.18 |
시간외 거래[해외주식(미국)] (0) | 2024.01.12 |
시간외 거래[국내(KOSPI,KOSDAQ)] (0)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