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 16

옵션이란 무엇인가?_콜옵션_풋옵션_총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옵션의 개념과 콜옵션&풋옵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옵션(option)'을 영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선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실생활에서 "내게 주어진 옵션이 뭐야"처럼 선택 가능한 조건이 무엇인지를 묻는 얘기인데요~ 콜 옵션과 풋 옵션은 모두 옵션의 일종으로써,특정 자산을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즉, 콜옵션은 매입권 & 풋옵션은 매도권을 의미합니다. 옵션을 잘 활용한다면 더 많은 이익, 그리고 하나의 좋은 헷징(hedging) 수단이 될 것입니다.  옵션이란? 주식을 포함한 특정 상품을 사전에 정해진 금액으로 구입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파생상품 즉, 주식을 포함한 특정 상품을 만기일 이전에..

명목금리 / 실질금리란 무엇인가?(+ 기준금리)(금리의 모든 것, 총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어디서 많이 들어서 알고 있지만, 막상 설명하기는 애매한 경제용어입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를 왜 알아야 할까요? 적어도 우리가 주고받는 '금리(이자)"의 구성이 어떻게 되는지는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금리'에 대해 먼저 알아보며 시작하겠습니다. 금리금리(金利)란 자금을 대차할 때 부과하는 이용료입니다. 따라서, 이자(율)라고도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우리는 물건에 대해 가치를 부여합니다. -> 물건의 가치는 '돈'으로 계산됩니다. 그렇다면 돈은 어떠한 것으로 가치가 부여될까요? -> 돈의 가치는 '금리'로 계산됩니다. 우리는 돈을 빌리고 빌려줍니다. 이때 '이자(금리)'라는..

최선책 & 차선책 정리 (feat.기회비용) + 주식 포트폴리오(+헷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선책'과 '차선책(기회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는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항상 선택을 합니다. 따라서 인생은 B(birth)와 D(death) 사이의 C(choice)라고도 합니다. 양자택일의 상황에서 하나를 선택한다면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선택'에 대해 경제적인 측면에서 접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선책과 채선책(feat.기회비용) 최선책 : 가장 훌륭하고 좋은 대책. 차선책 : 최선책 다음가는 방책. 기회비용 : 어떤 것을 선택함으로 인해서 포기되는 나머지 것들. [최선책&차선책(기회비용)] 평소 주식거래를 즐겨하는 김상승 씨는 A종목과 B종목을 두고 고민합니다. 김상승 씨는 현재 만원이 있으며, A종목과 B종목 모두 ..

주식, 가치투자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치투자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사실 가치투자에 대해 주식 기법으로 포스팅을 할지, 가치투자의 정의에 대해 포스팅을 할 지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치투자는 무엇인지(정의)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가치투자 가치투자는 기업의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기업의 가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순자산가치 2. 성장가치 3. 수익가치 위 세가지 중 어떤 것에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가치투자자 유형이 나뉘기도 합니다. * 순자산가치 중점 : 자산가치형 투자자 * 성장가치 중점 : 성장가치형 투자자 가치투자는 투기와는 정반대의 성격입니다. 잠깐 보유했다 매도하는 형식이 아닌, 회사 지분의 일부를 사서 회사를 소유한다는 마인드로 투자하는 것입..

주식, 거래량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거래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루 증권시장의 유동거래대금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높습니다. 그 수많은 거래 속 수익을 내는 것은 참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수익을 내기 전, 거래량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오늘은 이러한 거래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 거래량 : 주식 유통시장에서 매매된 주식의 수량을 나타낸 것 거래대금 : 이를 금액으로 표시한 것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주식시장의 흐름(힘)을 직접적으로 나타냅니다. 거래량은 오로지 매수와 매도의 힘으로만 형성됩니다. 따라서, 가장 순수한(?) 보조지표입니다. 따라서 거래량은 주식시장의 경기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며, 실제로 거래량과 주가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

주식 OBV 정리 (주식보조지표 OBV)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보조지표 OBV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수자가 많다면 주가 상승이, 매도자가 많다면 주가 하락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거래량은 주가를 선행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거래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주식시장의 격언인데요, 오늘은 이러한 OBV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OBV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거래량 분석을 통해 주가를 분석하는 기법! => 조셉 그렌빌(Joseph Granville) 개발 OBV(On Balance Volume)는 거래량을 이용하여 주가예측에 도움을 주는 보조지표입니다. 즉, 조셉 그렌빌의 OBV는, 거래량이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하면 거래량이 가격에 선행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OBV 계산 주가가 상승한 날의 거래..

주식, S&P500이란?

오늘은 S&P500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S&P500은 미국 3대 지수 중 하나이며, 실질적인 대표지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S&P500 S&P500 지수에는 대표적으로 약 500개 정도의 종목이 있습니다. 증권거래소는 -NYSE(뉴욕증권거래소) -NASDAQ(나스닥거래소) 에서 거래가 가능합니다. (+ 우리나라는 증권거래소가 '한국거래소' 한 곳입니다. 하지만 미국은 크게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거래소(NASDAQ), 아메리칸 증권거래소(AMEX)가 대표적입니다.) 뉴욕증권거래소와 나스닥거래소에 상장된 회사들 중, 산업대표성 및 유동성을 고려하여 500 종목을 편입시킨 지수이고, 미국 전체 시가총액의 70% 이상은 S&P500에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규모가 크고 미국을 대표하는 지수..

주식, NASDAQ(나스닥), NASDAQ100(나스닥100)이란?

이번 포스팅에서는 NASDAQ(나스닥), NASDAQ100(나스닥100)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미국 주식을 처음 접한다면 '나스닥'이라는 말을 가장 먼저 듣게 됩니다. 나스닥은 뉴욕증권거래소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증권거래소로써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벤처기업들이 자금조달을 위한 활동기반을 두는 곳입니다. 나스닥은 대중적이고 인기가 많은데요! 그 이유로는 회사설립 초기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기업들이 주식시장에 보다 쉽게 참여할 수 있고, 대표적으로 나스닥에 상장되어있는 회사로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은 뉴욕증권시장에 충분히 상장될 수 있는 튼튼한 회사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스닥에 상장되어있는 이유는, 하이테크기업으로써의 이미지를..

배당 용어 정리(배당일, 배당락일, 배당금)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당 용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배당은 제2의 월급이라고도 불립니다. 배당을 받는 것도 좋지만, 내가 배당금을 어떻게 받는지 알면 더욱 좋지 않을까요? 따라서 언제 사야 하는지, 언제까지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배당일, 배당락일, 배당금 개념은 항상 헷갈리더라고요..) 추가적으로..... 한국증권시장(KOSPI, KOSDAQ)에도 매력적인 배당주들은 많죠! 하지만 미국에 월배당을 하는 기업이 많고, 배당률도 한국에 비하면 훨씬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팁 문화도 한국보다는 미국이 잘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요.) 한국도 배당에 대해 점점 관대해지는 추세이니, 배당주에도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배당기준일 POINT! 배당기준일에는 무조건 해당 ..

주식 파라볼릭(Parabolic SAR)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라볼릭(Parabolic SA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라볼릭은 간단히 PSAR 또는 파라볼릭이라고도 불립니다. 파라볼릭은 1978년 웰즈 와일더에 의해 후행성의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실현 가능한 이익의 획득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파라볼릭은 추세지표라는 점에서는 다른 보조지표와 같을 수 있으나, 다른 지표와는 달리 자동적으로 매매 신호를 발생시키기에 주가 추세를 활용하는 자동매매시스템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arabolic SAR[개념] Parabolic : 포물선의 S : Stop(멈춤) A : And(그리고) R : Reversal(전환) Parabolic SAR은 가속도를 이용하여 추세의 전환점을 나타내는 보조지표입니다. [구성] Parabolic S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