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RS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SI는 다른 보조지표와 정말 많이 쓰이기에 꼭 알고 가야 합니다.
* RSI는 보통 다이버전스(상승 다이버전스, 하락 다이버전스)와 연계됩니다.
* 하지만 다이버전스를 MACD(OSC)와 RSI와 더불어 자세히 설명하고 싶어 포스팅을 나눠서 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혹시 신발을 좋아하시나요?
인기가 많은 신발은 프리미엄이 붙습니다.
그렇다면 이 신발을 사람들이 얼마나 사고 싶어 하는지, 팔고 싶어 하는지에 대해 자연스럽게 알고 싶어 질 것입니다.
주식에서는 RSI가 대표적으로 이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데요.
RSI를 활용하면 현재 내가 보고 있는 주식의 심리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RSI
[기본설명]
RSI는 주가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 간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냅니다.
이 말은 곧,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예측할 수 있다는 말과 같습니다.
[개념]
RSI : Relative Strength Index
RSI는 상대적 강도지수라고 불리며,
해당 주식이 현재 과매수 상태인지, 과매도 상태인지 알려주는 보조지표입니다.
[계산방법]
아래 공식을 사용하면 직접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공식>
RSI = AU / (AU + AD)
* 전일 가격에 비해 상승한 날의 상승분 = U
* 전일 가격에 비해 하락한 날의 하락분 = D
* U와 D의 평균값 = (AU, AD) (A = Average)
*AU를 AD로 나눈 값 = RS
(RS : 일정 기간(14일) 동안 주가가 상승한 날의 상승분의 평균값에, 가격이 하락한 날의 하락분의 평균값을 나눈 것)
하지만 RSI의 기본개념만 숙지하여도 충분합니다.
따라서 계산방법은 참고용으로 가볍게 봐주시면 됩니다!
RSI 핵심
RSI값 : 1~100 사이
RSI > 70 : 과매수 구간
RSI < 30 : 과매도 구간
![](https://blog.kakaocdn.net/dn/bcVJ7Z/btsDGIOBlvV/8XQH5xThUWqXogmBlkTRxk/img.png)
[과매도]
보통 RSI가 30 이하인 경우에 과매도 상태라고 합니다.
이 구간에서는 주식 가격이 많이 하락했기에 앞으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과매수]
보통 RSI가 70 이상인 경우 과매수 상태라고 합니다.
이 구간에서는 주식가격이 많이 상승해 있기에 앞으로 주가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매 유의사항
과매수 구간(RSI > 70)에는 매도를?
과매도 구간(RSI < 30)에는 매수를?
물론 이 방법을 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박스권 (과매수, 과매도 구간)에 들어서도 추세가 전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RSI가 70%를 깨고 내려오면 매도를,
RSI가 30%를 뚫고 올라가면 매수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혹은,
RSI가 50%를 상향돌파하면 매수를,
RSI가 50%를 하향돌파하면 매도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투자자 본인의 투자 전략이겠죠!!
마치며
RSI의 과매도&과매수 구간에 따른 매매기법은 저점매수와 고점매도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지표인 것은 확실합니다.
하지만 RSI의 특성상 매매 시그널이 적게 뜬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RSI와 다른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매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다음 포스팅에서는 RSI 하면 빠질 수 없는 다이버전스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기법 (Kiwoom 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매물대 정리 (1) | 2024.01.24 |
---|---|
RSI와 다이버전스 : 다이버전스 정리 [2편] (2) | 2024.01.23 |
MACD와 MACD OSC : MACD OSC편 [2편] (1) | 2024.01.21 |
MACD와 MACD OSC : MACD편 [1편] (1) | 2024.01.20 |
이동평균선(골든크로스,데드크로스,정배열,역배열)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