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법 (Kiwoom hts)

RSI와 다이버전스 : 다이버전스 정리 [2편]

오늘도 빨간불 2024. 1. 23. 00:01
반응형

저번 포스팅에서는 RS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SI와 더불어 MACD에도 활용되는 다이버전스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다이버전스에는 몇 가지 패턴들이 있습니다.
다이버전스의 개념을 잘 숙지하면 다른 보조지표와 더불어 차트를 볼 때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시야가 넓어집니다.

[1편]에 RSI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놨습니다.
먼저 보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RSI와 다이버전스 : RSI 정리 [1편]

RSI와 다이버전스 : RSI 정리 [1편]

이번 포스팅에서는 RS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SI는 다른 보조지표와 정말 많이 쓰이기에 꼭 알고 가야 합니다. * RSI는 보통 다이버전스(상승 다이버전스, 하락 다이버전스)와 연계됩니다. * 하

senseforfinance.tistory.com


다이버전스란?

내가 구매한 주식의 가격이 상승한다면 이보다 좋은 일이 있을까요?
하지만 보조지표(RSI)는 점점 낮아진다면 불안하고, '어라?' 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다이버전스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다이버전스란 가격과 보조지표(RSI) 간의 괴리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주가는 상승하는데 보조지표는 하락하는 현상이 있는데요.
즉, 주식가격과 보조지표가 비례하지 않는 것을 다이버전스라 합니다.


RSI와 다이버전스 종류

다이버전스 종류는 세 가지로 나뉩니다.
* 파란색 : 주가
* 빨간색 : RSI


1. 일반 다이버전스(Regular Divergence)

일반 다이버전스(좌:하락, 우:상승)


일반 다이버전스는 추세의 반전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 하락 다이버전스]
가격의 고점은 높아지는데 RSI 고점은 낮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주가는 상승하지만 다이버전스는 하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추세가 상승 -> 하락으로 반전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
가격의 저점은 낮아지는데 RSI 저점은 높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주가는 하락하지만 다이버전스는 상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추세가 하락 -> 상승으로 반전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2. 히든 다이버전스(Hidden Divergence)

히든 다이버전스(좌:하락, 우:상승)

히든 다이버전스는 추세의 유지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히든 다이버전스는 일반적으로 일반 다이버전스가 선행된 후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히든 다이버전스를 우선시하여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히든 하락 다이버전스]
가격의 고점은 낮아지는데 RSI 고점은 높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가격은 하락하고, RSI가 과매수 상태에 놓여있기에 강한 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  
가격의 저점은 높아지는데 RSI 저점은 낮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가격은 상승하고, RSI가 과매도 상태에 놓여있기에 강한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히든 다이버전스는 눈에 확 띄지 않습니다, 따라서 계속 찾아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3. 과장된 다이버전스

과장된 다이버전스(좌:하락, 우:상승)


과장된 다이버전스는 추세의 반전을 나타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과장된 하락 다이버전스]
가격의 고점은 동일한테 RSI 고점은 낮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는, 쌍고점을 찍고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과장된 상승 다이버전스]
가격의 저점은 동일한데 RSI 저점은 높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는, 쌍바닥을 만들고 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과장된 다이버전스는 다소 신뢰성이 낮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MACD와 다이버전스

macd와 다이버전스는 RSI의 응용입니다.

MACD와 다이버전스

MACD는 다이버전스를 MACD선과 Signal선으로 본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습니다. 그뿐입니다!!
(MACD 히스토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 다이버전스, 히든 다이버전스, 과장된 다이버전스 모두 RSI와 동일한 방법으로 봐주시면 됩니다!!


마치며

보조지표는 보통 차트와 비례한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락이면 하락, 상승이면 상승)
하지만 다이버전스를 통해, 만약 비례하지 않는 상황이 와도 이제는 '어라?'하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1편과 2편에 걸쳐, RSI와 다이버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주식 기법 (Kiwoom 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이격도 정리  (0) 2024.01.25
주식 매물대 정리  (1) 2024.01.24
RSI와 다이버전스 : RSI 정리 [1편]  (1) 2024.01.22
MACD와 MACD OSC : MACD OSC편 [2편]  (1) 2024.01.21
MACD와 MACD OSC : MACD편 [1편]  (1) 2024.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