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 이동평균선
-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 정배열, 역배열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매일 변합니다.
그래서 주식시장은 유동성이 강한 시장이죠.
그리고 매매를 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차트에서 일정한 패턴을 찾으려 합니다.
이를 위해 보조지표를 사용하고, 그중 하나가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은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조지표 중 하나이며,
다른 보조지표를 볼 때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동평균선
[정의]
일정기간(5일, 20일, 60일, 120일) 동안의 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주가 이동평균을 연결한 선.
즉, 일정기간 주가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보조지표입니다.
앞서 말했듯, 이동평균선은 '산술평균'이기에 우리가 쉽게 계산해 볼 수도 있습니다.
ex) 어떤 날의 '5일 이동평균선' 그어보기
1. 어떤 날을 포함한 최근 5일 종가를 모두 합산한 뒤 5로 나눈다.
2. 다른 날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구한다
3. 구한 값들을 이어 본다.
=> 5일이면 5일 치, 10일이면 10일 치를 합하고 그 일수로 나누면 됩니다.
[단기 이동평균선]
약 1일~25일 정도를 보통 단기라고 부릅니다.
대표적으로 5,20일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중기 이동평균선]
약 26일~75일 정도를 보통 중기라 부릅니다.
대표적으로 60일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장기 이동평균선]
약 76일~150일 정도를 장기라 부릅니다.
대표적으로 120일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골든크로스 & 데드크로스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 모두 산술 값이 다릅니다.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평균이 다를 수밖에 없죠!)
따라서 이동평균선은 서로 겹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가 헷갈릴 수 있는데요!
지금부터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이동평균선과 관련 없이 이동평균선끼리 겹치면 '크로스'입니다!
그리고 골든크로스인지 데드크로스인지 봐야 합니다.
[골든크로스]
case1)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 이동평균선을 상승돌파!
case2)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승돌파!
case3) 중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승돌파!
적은 일수(5)의 이동평균선이 많은 일수(20)의 이동평균선을 상승돌파한다면, 일수와 상관없이 모두 골든크로스입니다!
[데드크로스]
case1)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기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
case2)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
case3) 중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
많은 일수(60일)의 이동평균선이 적은 일수(20)의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한다면, 일수와 상관없이 모두 데드크로스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RtRU3/btsDzwgLNWx/gJgluAm329i9Z3GIDQR4RK/img.jpg)
정배열 & 역배열
주식을 떠나 배열이란 무엇일까요?
일정한 규칙이나, 방향을 의미합니다.
[정배열]
차트의 전반적인 상승을 의미합니다.
정배열은 전반적인 이동평균선이 우상향 하고 있는 형태를 보입니다.
[역배열]
차트의 전반적인 하락을 의미합니다.
역배열은 전반적인 이동평균선이 우하향 하고 있는 형태를 보입니다.
*주의*
중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은 우상향 하고
단기 이동평균선만 우하향한다면,
이는 정배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중대한 일이 없다면, 일시적으로 주가는 잠시 내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진으로 추가적인 이해를 돕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iVVfC/btsDEUGDxJR/ljwE5Nuz9RP1LZbbhVt0Nk/img.png)
<사진 전체설명>
20일 이동평균선과 60일 이동평균선이 데드크로스가 났지만,
120일선이 지지해주고 있고, 나머지 이동평균선도 전반적으로 우상향의 모습을 보이고 있기에 정배열입니다.
하지만 지지선이라고 불리는 120일선과 데드크로스가 난다면,
차트가 역배열 형태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지지선 : 주가가 떨어지지 않게 버텨주는 지점)
![](https://blog.kakaocdn.net/dn/AQCb2/btsDxS5m23k/ktk6kbeHZGuyWHOatT56H0/img.png)
<사진 전체설명>
이동평균선들이 전반적인 우하향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간에 20일 이동평균선과 60,120일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
60일 이동평균선과 120일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로 인해 정배열 형태로 들어가는 듯했지만, 다시 20일 이동평균선과 60일 이동평균선의 데드크로스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차트의 상승은 있었지만,
다시 이어지는 하락과 전반적으로 우하향의 모습을 보이고 있기에 역배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동평균선과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정배열, 역배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기법 (Kiwoom 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D와 MACD OSC : MACD OSC편 [2편] (1) | 2024.01.21 |
---|---|
MACD와 MACD OSC : MACD편 [1편] (1) | 2024.01.20 |
시간외 거래[해외주식(미국)] (0) | 2024.01.12 |
시간외 거래[국내(KOSPI,KOSDAQ)] (0) | 2024.01.11 |
주식 캔들 보는법, 장대캔들,역망치형,망치형,팽이형(2)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