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헤드앤숄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해드앤숄더'라는 말을 들으면 무엇이 생각나시나요?
'머리'와 '어깨'가 가장 먼저 생각납니다.
이와 같이 '헤드앤 숄더'는 누적된 차트의 모양이,
마치 사람의 머리와 어깨의 형상과 비슷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입니다.
헤드앤숄더는 주식을 하다 보면 자주 볼 수 있는 형태로써,
보통 추세의 전환이 이루어지기 전에 나타나는 형태입니다.
헤드앤숄더
헤드앤숄더는 세 개의 산봉우리 형태를 띠고 있다고 하여 '삼봉형 패턴'이라고도 불립니다.
위 사진을 보면 '세 개의 고점을 형성'하고 있고, 가운데 고점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형태가 나오면 '하락 추세'로의 전환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헤드앤숄더 형태]
위 사진과 같이 누가 봐도 완벽한 헤드앤숄더 패턴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캔들은 매매자 시점에서 분석되기에 주관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이나 다이버전스를 같이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역 헤드앤숄더도 마찬가지!!)
또한 헤드앤숄더 형태의 정석은,
'왼쪽 어깨보다 오른쪽 어깨가 높아야 한다' 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오른쪽 어깨가 왼쪽 어깨와 비슷하거나,
혹은 오른쪽 어깨가 더 낮다고 하여도 큰 상관은 없다고 합니다.
[헤드앤숄더 이후 주가]
헤드앤숄더 형태가 만들어진 이후,
오른쪽 어깨에서 하락하고 있다고 해서 바로 급락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른쪽 어깨에서 하락하고 '헤드앤숄더 지지선'을 하향 돌파할 때,
비로소 본격적인 하락 추세가 형성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역 헤드앤숄더
역 헤드앤숄더는 세 개의 바닥을 가지고 있는 형태를 띠고 있다고 하여,
흔히 '삼중바닥', '쓰리바닥'이라고도 불립니다.
위 사진을 보면 '세 개의 저점을 형성'하고 있고, 가운데 저점(머리)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형태가 나오면 '상승 추세'로의 전환 가능성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역 헤드앤숄더 형태]
역 헤드앤숄더는, 해드앤 숄더를 그대로 뒤집어 놓은 형태입니다.
역 헤드앤숄더 형태의 정석은,
'머리보다 오른쪽 어깨가 높아야 한다'입니다.
만약, 오른쪽 어깨가 머리보다 많이 높지 않거나,
심지어 비슷하다 하더라도 다이버전스를 확인하면,
추세의 전환을 충분히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필요시 다이버전스 포스팅 참고하시면 됩니다!
[역 헤드앤숄더 이후 주가]
역 헤드앤숄더 형태가 만들어진 이후,
오른쪽 어깨선을 구간에 왔다고 해서 무조건 상승한다고 할 수 없습니다.
오른쪽 어깨에서 상승하고 '역 헤드앤숄더 저항선'을 상향 돌파할 때,
비로소 본격적인 상승 추세가 형성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헤드앤숄더&역 헤드앤숄더 패턴은,
주가의 고점과 저점을 비교적 명확하게 알 수 있는 패턴입니다.
헤드앤숄더 패턴에서 지지선을 이탈할 때
-> 하향 추세로의 전환
역 헤드앤숄더 패턴에서 저항선을 돌파할 때
-> 상향 추세로의 전환
즉, 헤드앤숄더&역 헤드앤숄더 패턴은 새로운 추세(추세의 반전)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알아두면 유익한 패턴이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헤드앤숄더&역 헤드앤숄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기법 (Kiwoom 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거래량 정리 (0) | 2024.02.15 |
---|---|
주식 OBV 정리 (주식보조지표 OBV) (0) | 2024.02.14 |
주식 파라볼릭(Parabolic SAR) 정리 (1) | 2024.01.27 |
주식 볼린저밴드 정리 (1) | 2024.01.26 |
주식 이격도 정리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