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거래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루 증권시장의 유동거래대금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높습니다.
그 수많은 거래 속 수익을 내는 것은 참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수익을 내기 전,
거래량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오늘은 이러한 거래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
거래량 : 주식 유통시장에서 매매된 주식의 수량을 나타낸 것
거래대금 : 이를 금액으로 표시한 것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주식시장의 흐름(힘)을 직접적으로 나타냅니다.
거래량은 오로지 매수와 매도의 힘으로만 형성됩니다.
따라서, 가장 순수한(?) 보조지표입니다.
따라서 거래량은 주식시장의 경기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며,
실제로 거래량과 주가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 상세
거래량과 거래대금의 성질을 추가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거래량>
거래량은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된 주식 수를 의미합니다.
즉, 시장 참여자들의 매수와 매도 총수량
거래량의 변화는 주가지수의 변화와 직결되며,
시황 판단의 기본적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 거래량을 통해 종목의 강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주식의 유동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투자자들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거래대금>
거래대금은 앞서 말했듯이 증권거래소에서 매매된 주식 수에 시장가격을 곱한 값입니다.
거래대금의 크기를 통하여 거래량과 같이 매매자들의 투자심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거래량과 매매
[상승추세]
CASE1) 거래량 대폭 증가 -> 주가 상승 -> 상승 추세 강화
=> 매수자가 많기에 상승추세가 형성됩니다.
(계속하여 고가에서 주식을 사는 행위)
CASE2) 거래량 소폭 증가 -> 주가 상승 -> 상승 추세 약화
=> 주식 보유자는 홀딩, 새로 유입되는 물량이 없기에 상승 추세는 약화됩니다.
(이 경우 관망하며 추세를 살피는 것이 좋습니다.)
CASE3) 거래량 감소 -> 주가 하락 -> 상승 추세 꺾임
=> 높은 가격으로 매수를 꺼려하며, 조정이 나타나는 시기입니다.
(조정이 끝나고 상승추세가 지속되지 못하면 하락 추세로 전환됩니다.)
[하락 추세]
CASE1) 거래량 증가 -> 주가 하락 -> 상승 추세 강화
=> 매도자가 많기에 하락 추세가 형성됩니다.
(가장 피해야 할 매매타이밍으로써, 주식을 매도하려는 사람들이 많은 상황입니다.)
CASE2) 거래량 감소 -> 주가 하락 -> 하락추세 약화
=> 매수자, 매도자 모두 관망하며 추세의 변화를 대기 중인 상황입니다.
(매수&매도자 모두 부담스러움을 느끼는 시점입니다.)
CASE3) 거래량 감소 -> 주가 상승 -> 하락 추세 꺾임
=> 팔 물량이 소진되며, 기술적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기술적 반등 이후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마치며
거래량은 매도자&매수자의 흔적입니다.
주식은 팔려는 사람과 살려는 사람의 머릿 수 싸움이죠,
따라서 결과론적으로 보통 급등이나 급락이 올 때에는 거래량이 항상 높습니다.
여러 보조지표가 많이 존재하지만,
거래량만큼 직관적이고 솔직한 보조지표는 찾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3.gif)
오늘은 거래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기법 (Kiwoom 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드앤숄더 / 역헤드앤숄더란 무엇인가? (0) | 2024.03.13 |
---|---|
주식 OBV 정리 (주식보조지표 OBV) (0) | 2024.02.14 |
주식 파라볼릭(Parabolic SAR) 정리 (1) | 2024.01.27 |
주식 볼린저밴드 정리 (1) | 2024.01.26 |
주식 이격도 정리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