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

제로섬 게임(hedging)

"나의 투자 목표는 제로섬 게임이다" 저는 어떤 전략과 기법을 가지고 하더라도, 헷징을 통한 손실 극소화는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주식 기법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 제로섬 게임에 대해 말해보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몸이 아플까 봐 '보험'에 가입하고, 노후를 보장받고 싶어 '연금'에 가입한다. 이 행위들이 "Hedging"이다. 즉, 혹시 모를 위험을 대비해, 다른 무언가에게 위험을 전가시키는 행위이다. 우리는 우리의 선택으로 인해 이득을 볼 수도, 손해를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득과 손해 둘 다, 헷징을 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면 그 값은 한없이 작을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가 보험을 드는 이유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제로섬 게임"이다. (위험을 0으로 만듦) 개인적으로 난 주식에 이 말..

화폐(돈)란 무엇인가

Q : "나 저거 가지고 싶어 사고 싶다" A : "그럼 돈이 있어야지!!" -> 우리는 보통 돈으로 상품을 구매한다. 어떤 상품을 갖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하였는가?! 어떤 옛날에는 비슷한 값어치의 물건으로, (물건 물건) 또 어떤 옛날에는 엽전으로, 또 가까운 과거에는 금으로, (+금본위제는 폐지되었지만 금은 아직도 중요하다는 것...!) 그리고 지금 현시대에 우리는 '각국의 돈'(USD, KRW 등등)을 사용하고 있다. 화폐는 상품을 얻게 하는 수단임은 중요하지만, 결국 화폐(엽전, 금, 기타 등등)는 "교환 작용"의 기능을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화폐는 상품교환의 척도가 되는 기본 단위라 할 수 있고, 우리는 각자에게 발행된 일반화된 지폐(각 국의)를 사용한다. 세계에는 수많은 화폐의 종..

금리란 무엇인가

금리란, 자금을 빌리거나 빌렸을 때의 이자이다. 그러므로 금리는 최종적인 돈의 가치(가격)라고 할 수 있다. 시장에는 이미 수많은 (유동성) 자금(돈)이 돌고 있기에, 우리에게 금리는 당연히 민감한 존재이다. 화폐의 힘이 가장 강한 달러를 기준으로, 쉽게 예를 들어보자, 우선, 컵 안에 물이 가득하다면 => 저금리 시대(상황) 컵 안에 물이 부족하다면 => 고금리 시대(상황) 이것만 일단 알아두고 가자. 컵 == 시장 물 == 돈 정수기 == 은행 이라고 가정을 하고, 우선 정수기로 컵에 물을 가득 받아보자, (유동성 자금이 시장에 많이 유입!!) 사람들은 목이 마를 수밖에 없기에 마음껏 물을 마실 것이다. (경제 활동이 활발해진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물을 썩을 것이고, 따라서, 컵 안에 물은 교..

경제적 자유를 위한 목표

얼마가 있어야 부자인가? 숫자 뒤에 '0'이 몇개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더이상 근로소득으로 살아갈 수 없는 시대에 살아가는 우린, 누구나 한번쯤은 부자가 되는 상상을 해봤을 것이다.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주식? 채권? 부동산? 결국 '투자' 는 필수불가결적 요소이다. 우리는 리스크를 감수하는 만큼 큰 보상을 원하고, 큰 보상을 얻기 위해서는 그 분야에 기본적인 소양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중 나는 주식에 관련된 공부를 많이 했기에, 유가증권시장에 대해 앞으로 나의 스토리를 써내려가고 싶다. 처음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고, 가벼운 마음으로 부족한 나의 글을 보며 같이 알아갈 수 있다면 내 블로그의 목적은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