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데 있는 금융용어

스타트업 시리즈 투자_스타트업 투자 단계_시리즈 A부터~

오늘도 빨간불 2024. 5. 20. 20:51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는 스타트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나아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타트업의 투자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보고오기

 

스타트업이란?_드라마 스타트업?#개발자#마케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타트업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세계는 지금 스타트업 열풍입니다. 그만큼 스타트업에 재직 중이신 분들도 많아졌는데요~ 내가 다니는 스타트업에

senseforfinance.tistory.com

 

기술력이 아무리 좋아도, 산업 전망이 아무리 좋아도 결국 돈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스타트업에게 투자는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는데요~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타트업 투자라운드
(생애주기)

스타트업 투자라운드 구도

투자 단계는 위 사진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시드단계(Seed money) > 시리즈 A > 시리즈 B > 시리즈 C > EXIT

 

성장 과정에 따라 투자 단계의 명칭이 다르고, 스타트업이 성장하기 위한 엔진은 자본이기 때문에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투자 자금을 조달해야만 스타트업은 생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타트업 CEO의 투자 유치 능력은 중요할 수밖에 없는데요~

 

이제 투자유치단계의 과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시드단계(Seed money)

'Seed' 즉, 씨앗입니다. 

말 그대로 창업 극 초반이나 창업 직후, 즉 가장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투자입니다. 

 

시드 단계에서는 아이디어를 프로토타입의 제품 및 서비스로 만드는 단계인데요~ 

 

투자금액은 평균 1억~10억 정도의 낮은 금액으로 이루어지며, 

투자자로는 엔젤 투자자, 엑셀러레이터, 지인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Seed 단계에서 시리즈 A 구간까지를 죽음의 계곡(Death Valley)라고도 부릅니다.

그만큼 시리즈 A 까지의 과정이 험난하다는 것이겠죠..? 

 

 

시리즈 A

스타트업이 시장의 초기 검증을 통과하고 제품 또는 서비스의 초기 버전을 정식 출시한 전후로 이루어집니다. 

 

이 시기 스타트업은 본격적으로 시장 진출을 시도하며 안정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장기적 비지니스 모델 구축을 위해 노력합니다. 

스타트업이 시리즈 A 투자를 받는다는 것은 아직 매출 실적은 미비하지만 비지니스 모델이 시장의 반응을 얻어낼 수 있다는 평가를 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기업의 가치가 수십억 원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투자금액은 평균 10억~50억, 많게는 100억~200억 정도의 규모로 이루어지는데요~

투자자로는 벤처캐피탈(VC), 엑셀러레이터, 금융기관, 대기업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시리즈 A 투자에서 기관투자자들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음) 

 

시리즈 B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상당 수준의 스케일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리즈 A 단계에서 기업가치가 일정 수준으로 상승하지 못해 다시금 시리즈 A 투자를 받는 경우가 많고, 브릿지라 하여 시리즈 B로 넘어가기 전에 중간투자를 받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시리즈 B

이미 제품 및 서비스가 안정적인 매출과 실적을 가지고 있어 기업가치를 어느 정도 인정받을 때 이루어집니다.

 

이미 상당한 수준의 고객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비지니스 모델을 구축한 후 사업을 더욱 확장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자금을 조달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인력 충원, 마케팅,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투자금액은 평균 100억~200억 정도로 진행되며 1,000억 이상의 투자 사례도 존재합니다.

(오케스트로, 리벨리온) 

투자자로는 벤처캐피탈(VC),사모펀드(PE), 대기업 등이 있습니다. 

 

시리즈 B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은 적극적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마케팅과 기술 개발에 많은 자금을 투입하여 사업확장을 시도합니다. 

 

 

시리즈 C

스타트업이 이미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시장에서의 지위를 강화한 후에 이루어집니다.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스케일업(scale-up)을 가속화하기 위해 연관사업을 투자하기 위해 투자받습니다! 

 

시리즈 B 투자를 통해 성공적인 성공을 이루고 더욱 광범위한 규모의 작금을 조달하기 위한 단계인데요!

 

투자금액은 100억~500억 규모로 이루어지며, 

벤처캐피탈(VC),투자은행,사모펀드(PE) 등

 

시리즈 C 투자를 유치한 기업은 자사의 제품 및 서비스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관련 사업들을 확장하거나 해외 시장 진출 등 새로운 시장을 공략하며, IPO(기업공개) or M&A(인수합병)을 준비하기도 합니다. 

 

시리즈 C 단계가지 왔다면 이젠 스타트업에서 벗어나 어엿한 기업으로써의 생존을 위한 성장은 마쳤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정리

앞서 Seed 투자부터 시리즈 A, B, C 투자단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 다른 투자단계도 존재하기에 아래 표를 만들어 다시 정리해 보았습니다~

단계 투자 라운드 투자 금액 투자 방식 기업 가치 대표 투자자
초기 시드 단계 수천만원~수억원 보통주, SAFE ~40억원 엔젤투자자,
엑셀러레이터,
마이크로VC,
초기전문VC
Pre 시리즈 A 5억 ~ 15억원 40 ~ 100억원
중기 시리즈A 20억원 ~ 40억원 RCPS 100 ~ 250억원 엔젤투자자,
VC
시리즈B 50억원 ~ 150억원 205 ~ 1,500억원 VC
후기 시리즈C 수백 억 원 RCPS,
CB,
BW
750 ~ 1,500억원 VC,
헤지펀드,
사모펀드,
투자은행
시리즈D,E,F
Pre IPO
수백 억 ~ 천억 원 이상 수천 억 원 이상

 

 

마치며

기업의 경우 투자 유치 과정에 필수적 단계인 '투자계약서 작성'에 유의해야 하며, 리스크 방지를 위해 법적 리스크 관리를 병행해야 한다고 합니다, 특히 투자계약서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아 투자 금액 이상의 배상책임을 지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합니다! 

 

구직자의 경우 상장을 기대하고 스타트업에 들어가기도 하는데요~ 

좋은 스타트업을 찾아 입사한다면 직업 만족도가 높다고 하는데요!(워라벨은....) 

경제 발전을 위해 스타트업들이 많이 발전했으면 좋겠으며 이미 스타트업에 재직중이신 분들이라면 우리 회사는 어느 단계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