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이란?_드라마 스타트업?#개발자#마케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타트업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세계는 지금 스타트업 열풍입니다.
그만큼 스타트업에 재직 중이신 분들도 많아졌는데요~
내가 다니는 스타트업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고자 하는 취지로 두 편에 걸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스타트업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생각이 나나요?
* 생겨난 지 얼마 안 된 회사?
* 고속 성장하고 있는 회사?
* 특별한 기술이 있는 회사?
모두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의 핵심은 분명 존재하는데요~
이제 본격적으로 스타트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타트업
start-up
신생 창업기업을 뜻하는 말로 미국 실리콘벨리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우선 신생 창업이라는 단어에 집중해보겠습니다.
신생 창업이라 해서 모두 스타트업일까요?
예를 들어, 집 앞에 치킨집이 생겼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어떤 사람도 그 치킨집이 스타트업이라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닭을 튀기는 새로운 기술이 있다면 스타트업이 될 수 있음)
따라서 스타트업은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 기반의 신생 기업입니다.
하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초기에는 투자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합니다.
결국 스타트업은 극한의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요!
에릭 리스는 극한의 불확실성을 바탕으로 신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상하고 이를 만들어낸다면 스타트업이라고 하였습니다.
(에릭 리스 : 매출 5천만 달러를 기록한 스타트업 IMVU의 공동창업자이자 CTO)
성공한 스타트업_유니콘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 즉 한화로 약 1조억 원 가치의 스타트업을 유티콘이라 부릅니다.
보통의 스타트업들은 투자금을 기반으로 운영되기에 크게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투자금이 고갈되기 전에 자사 서비스로 흑자를 내는 것은 어려움)
하지만 이러한 시장 속에서 드물게 성공하는 스타트업은 상상 속에 존재하는 유니콘과 같다는 의미로써 다음과 같이 불리게 되었습니다.
유니콘을 넘어 기업 가치가 100달러가 넘는 스타트업은 뿔이 10개 달린 상상 속 동물인 데카콘(Decacorn)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유니콘보다 더 희소가치가 있다는 뜻이겠죠?!
스타트업의 핵심
우리는 위에서 스타트업은 자금이 부족해 투자를 받아 운영되고 스타트업만의 기술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물론 기술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구축하고, 이에 인정받아 투자를 받아 성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지 이뿐이라면 성장의 한계는 명확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타트업이 진정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수적입니다.
1. 문제를 해결한다.
2. 고속으로 성장한다(J커브).
[문제를 해결한다_사회적 문제 해결]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단순히 회사 내부의 문제를 해결하는 의미는 아닙니다.
어떠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비스를 만들었다는 의미로 접근되는데요~
예를 들어, 에듀테크(교육) 산업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현상 :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양극화로 인한 교육 불평등
스타트업 : 이에 교육 불평등 해소를 목적으로 하여 서비스를 개발
이렇듯 스타트업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끝까지 성장할 수 있겠죠?(비전)
* 간단해보이지만 굉장히 중요한 개념입니다.
[고속성장_J커브]
또한 스타트업은 고속으로 성장하여야 합니다.
(질 높은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는 증거이겠죠)
스타트업은 본질적으로 불안정하다고 하였는데요!
점진적인 성장으로는 불안정함을 해소할 수 없기에 고속성장이 필수적입니다!
마치며
스타트업이 성공하려면 여러 조건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으로 시작해서 상장이라는 신화를 이루어낸 기업들은 전부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또한 스타트업이 활성화되면 그만큼 기술력이 강한 국가로 발전하게 됩니다.
경제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도 스타트업들의 행보는 상당히 중요한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회사들이 상장하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즉, 스타트업의 투자방식인 시리즈 투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