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데 있는 금융용어

뱅크런이란?(Bank Run) - 은행의 대규모 예금인출사태, SBV 파산사태

오늘도 빨간불 2024. 2. 17. 00:0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뱅크런(Bank Run)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소득'의 대부분을 은행에서 일정 보수(이자)를 받고 다양한 형태(예금 등)로 맡겨 놓습니다.

은행은 안전할까요? 

왜 예금자보호법은 5,000만원까지일까요? 

 

이를 통해 은행이라 할지라도 완벽한 안전은 없다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뱅크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뱅크런

은행의 대규모 예금인출 사태, 은행의 패닉상태

대표적인 뱅크런, SVB사태

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은행의 건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면, 

사람들은 그동안 저축한 돈을 인출하려고 할 것입니다. 

 

은행은 일정비율의 지급준비금 비율을 보유하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인출하게 된다면 은행은 패닉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하지만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예금보험공사의 예금자보호법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밑에서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뱅크런(BANK RUN)은 연쇄적이다]

뱅크런 현상은 전염성이 강하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만약, A은행의 재무 불건전으로 인해 예금을 돌려주지 못한다면, 

A은행에 돈을 맡겨놓은 예금자들 뿐만 아니라,

B은행에 돈을 맡겨놓은 예금자들 역시 불안함을 느낄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예금자들의 대규모 인출사태가 발생하게 됩니다.

 

 

 

뱅크런 사태

<미국>

[1929년 대공황과 뉴욕은행 사태]

=>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뱅크런 사태 

 

1929년 10월 29일은 "검은 목요일" 미국 주식 시장이 대폭락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예금자들은 대규모 인출을 진행하였고, 

뉴욕은행은 지급불능 상태에 직면하였습니다. 

이 현상은 미국 경제 불안정과 대공황을 더욱 심화시켰습니다.

 

 

[SVB 파산 사태]

SVB 파산 사태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실리콘밸리은행(SVB : Silicon Valley Bank)이 2023/03/10/일 파산하였습니다. 

SVB의 파산은 미국 역사상 2번째로 큰 규모의 은행파산이라는 점에서 충격을 자아냈습니다.

 

파산의 이유는 간단합니다. 

SVB는 예금자들의 예금을 다른 소비자들에 대한 지출(대출 등)보다는, 

미국 국채와 주택저당증권등 장기자산을 구입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금리 때문에 망했다고 할 수 있는데요, 

FOMC 금리 인상이 지속되어 기업들의 예금은 줄어들고,

예금 인출은 급격히 늘어나게 되며 잔고가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또한 2일도 되지 않아 파산까지 이어진 이유로는,

디지털 시대이기에 인출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한국>

[한국 1997년 부산저축은행 사태]

1997년 국내 금융시스템은 위태로웠습니다.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예금자들은 부산저축은행을 불안해하였고, 

불안감이 확산되어 예금자들은 대거 인출을 진행하였고,

부산저축은행은 뱅크런 상태에 이르러, 1997년 경영정상화기금에 합병되었습니다.

 

 

 

예금자보호법

뱅크런은 일어나면 안 되는 사태입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뱅크런을 대비하여 '예금자 보호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은행의 파산손실을 줄이고, 예금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예금자 보호법을 통하여, 은행이 파산하여도 5,000만 원 한도 내에서 예금자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또한 예금자 보호법 이외에도 중앙은행의 최종 대부자 기능을 통해,

예금 지급 불능 상태에 빠진 은행에게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제공하여 뱅크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현재 국가 및 중앙은행은 체계적인 시스템들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뱅크런과 같은 경제위기 요소들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뱅크런과 같은 사태들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금자들의 현명한 자산 분배가 필요하며,

주식 투자에 있어서도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뱅크런 사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